[태그:] Cloud Storage 업로드 속도

  • Cloud Storage (S3·GCS) 파일 업로드 속도가 느릴 때 원인 진단 가이드

    클라우드 스토리지(Amazon S3 또는 Google Cloud Storage, GCS)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속도가 예상보다 현저하게 느릴 때, 그 주요 원인은 대부분 클라이언트 측(로컬 네트워크 환경), 전송 방식(사용 중인 프로토콜 종류), 또는 스토리지의 설정 및 리전 선택에 기인합니다. 스토리지 서비스 자체의 내부적인 문제로 인한 경우는 매우 드물며, 대다수의 상황에서는 업로드 경로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병목 현상이 성능 저하를 초래합니다.

    AWS S3는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, 아마존 웹 서비스(AWS)가 제공하는 확장 가능하고 내구성 높은 클라우드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.

    클라우드 스토리지(Amazon S3 또는 Google Cloud Storage, GCS)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속도가 예상보다 현저하게 느릴 때, 그 주요 원인은 대부분 클라이언트 측(로컬 네트워크 환경), 전송 방식(사용 중인 프로토콜 종류), 또는 스토리지의 설정 및 리전 선택에 기인합니다. 스토리지 서비스 자체의 내부적인 문제로 인한 경우는 매우 드물며, 대다수의 상황에서는 업로드 경로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병목 현상이 성능 저하를 초래합니다.


    1. 클라이언트 측 및 네트워크 병목 현상 진단

    업로드 속도는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속도를 절대 초과할 수 없습니다. 따라서 클라이언트 측의 성능 저하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.

    • 인터넷 업로드 속도 제한: 실제 체감 속도가 느리다면, 먼저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업로드 속도를 측정(Speed Test)하여 확인합니다. 대부분의 가정용 인터넷 연결은 다운로드 속도에 비해 업로드 속도가 현저히 낮습니다.
    • CPU 및 RAM 부하: 대용량 파일 업로드 시,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파일 압축, 암호화, 청크(Chunk) 분할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. 이 과정에서 PC의 CPU나 메모리(RAM) 사용률이 100%에 가깝다면, 병목 현상이 발생하여 업로드 속도가 느려집니다.
    • 방화벽 및 프록시 설정: 회사 네트워크나 특정 방화벽 환경에서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엔드포인트로의 아웃바운드(Outbound) 연결이 느리거나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프록시 서버를 경유하는 경우, 프록시 서버의 처리량 제한도 속도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.

    CPU는 컴퓨터의 ‘두뇌’로 모든 계산을 담당하고, RAM은 CPU가 작업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‘단기 기억 공간’입니다.


    2. 전송 프로토콜 및 방식 최적화

   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지원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업로드 효율을 극대화해야 합니다.

    2.1. 멀티파트 업로드 (Multipart Upload) 활용

    • 원리: 대용량 파일을 여러 개의 작은 청크로 분할하여 동시에 전송(병렬 업로드)한 후, 서버에서 다시 하나로 합치는 방식입니다.
    • 진단 및 조치: 100MB 이상의 대용량 파일을 업로드할 때는 반드시 AWS CLI, S3 SDK, GCS gsutil 등에서 멀티파트 업로드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. 웹 콘솔이나 구형 도구는 이를 지원하지 않아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. gsutil의 경우, parallel_composite_upload_threshold 설정을 조정하여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효과: 단일 TCP 연결의 한계를 극복하고, 네트워크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하여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킵니다.

    2.2. 전송 최적화 서비스 사용 (S3 한정)

    • AWS S3 Transfer Acceleration: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사용자도 S3에 파일을 빠르게 업로드할 수 있도록, AWS의 엣지 로케이션(Edge Location)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입니다. 데이터는 가장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으로 전송된 후, AWS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S3 버킷으로 전달됩니다.
    • 조치: S3 버킷 설정에서 Transfer Acceleration을 활성화하고, 특수한 엔드포인트(예: <bucket-name>.s3-accelerate.amazonaws.com)를 통해 업로드해야 합니다.

    3. 스토리지 설정 및 리전 문제

   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물리적 위치와 설정이 업로드 지연에 영향을 미칩니다.

    3.1. 지리적 리전(Region) 선택

    • 원리: 클라이언트 PC와 스토리지 버킷이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왕복 시간(RTT, Round Trip Time)이 길어져 속도가 느려집니다.
    • 진단 및 조치: 업로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버킷이 생성된 리전이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. 예를 들어, 한국에서 작업한다면 서울 리전(ap-northeast-2)에 버킷을 생성하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.

    3.2. S3/GCS 성능 한계(Request Rate)

    • 원리: S3나 GCS는 초당 수천 개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지만, 단일 버킷 또는 객체 이름에 대해 매우 높은 속도로 요청이 집중되면 일시적인 제한(Throttling)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진단 및 조치: 일반적인 업로드에서는 발생하기 어렵지만, 수백만 개의 작은 파일을 연속적으로 업로드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 경우, 업로드 작업을 분산시키거나 객체 이름에 임의의 접두사를 붙여 버킷 내의 파티션을 분산시켜야 합니다.

    3.3. 스토리지 클래스 확인 (GCS 한정)

    • GCS Standard Storage: 높은 성능을 제공하여 업로드 속도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.
    • GCS Archive/Coldline Storage: 비용 절감을 위해 액세스 속도가 느리게 설계되었습니다. Coldline에 파일을 자주 업로드하거나 접근할 경우 속도 저하뿐 아니라 추가 비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업로드 목적에 맞는 스토리지 클래스를 사용해야 합니다.

    Disclaimer: 본 블로그의 정보는 개인의 단순 참고 및 기록용으로 작성된 것이며, 개인적인 조사와 생각을 담은 내용이기에 오류가 있거나 편향된 내용이 있을 수 있습니다.